반응형
2025년 정부가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민생소비쿠폰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, 어디서 받는 게 가장 이득인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카드사로 신청할지, 지역화폐로 받을지에 따라 혜택과 사용처가 다르기 때문인데요. 이 글에서는 전국 주요 카드사별 혜택, 지역화폐 종류와 신청법, 카드사 vs 지역화폐 비교까지 전부 정리해드립니다.
전국 카드사 민생소비쿠폰 신청 혜택 정리
- 신한카드: 앱·홈페이지·ARS로 신청 가능, 주소지 관할 소상공인 매장 사용 시 자동 캐시백. 전월 실적 필요. 신청 바로가기
- KB국민카드: KB앱, 영업점, 전월 사용 기준 캐시백. 신청 페이지
- 삼성·하나·우리·현대·BC·NH카드: 카드사별 앱 또는 영업점 신청, 조건 및 캐시백 금액 상이. 카드사별 신청 링크는 각 홈페이지 참고.
지역화폐(상품권) 방식 혜택 정리
- 서울: 서울사랑상품권 (제로페이 앱에서 구매), 충전 시 10% 할인
- 경기: 경기지역화폐 (지역화폐 앱), 소득·연령 따라 충전 한도 다름
- 대전: 온통대전 앱
- 대구: 대구행복페이
- 인천: 인천 e음 (카드형)
- 기타: 전북 전주사랑상품권, 광주 광주상생카드, 울산 e드림 등 지역별 앱 사용
※ 신청은 각 지자체 또는 앱에서 가능하며, 충전 후 지역 내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
- 사용처가 제한됨: 대형마트, 백화점, 온라인 사용은 불가
- 할인 구매 가능: 충전 시 10% 할인 혜택 (지자체별 상이)
- 지역경제 활성화 유도: 소상공인 전용 가맹점에서 사용 시 혜택
따라서 지역 내 소비를 주로 하거나, 동네 장보기 중심이라면 지역화폐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.
카드사 vs 지역화폐 비교 요약
구분 | 카드사 방식 | 지역화폐 방식 |
---|---|---|
신청 | 앱, 홈페이지, ARS, 영업점 | 앱 또는 주민센터 |
혜택 | 전월 실적 기준 캐시백 | 충전 시 10% 할인 |
사용처 | 연매출 30억 이하 매장 | 지역 내 소상공인 가맹점 |
추천 대상 | 온라인/광역 외 이동 많은 분 | 동네 장보기·외식 중심 가정 |
정리하며
💡 정리하자면, 자주 쓰는 소비 형태에 따라 고르면 됩니다:
- 카드사 캐시백을 노린다면 카드사 신청
- 지역화폐는 장보기·외식·아이 학원비 지출이 많은 분께 추천
지자체와 카드사가 함께 운영하는 정책이기 때문에 중복 신청이 불가능하며, 꼭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는 점도 기억하세요!
▼ 내 지역 신청처와 상세 조건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에서 바로 확인해 보세요.
※ 본 글은 정부·카드사 발표 및 뉴스 자료 기반으로 정리되었습니다. 내용이 일부 변경될 수 있으니 신청 전 각 카드사 및 지자체 공지사항을 꼭 확인하세요.
반응형